합계출산율 9년 만에 늘었다…왜?

[앵커]저출생의 늪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입니다. 합계 출산율이 9년 만에 소폭 반등에 성공했는데요. 출생아 수가 늘어난 이유 무엇이었을까요? 배정현 기자입니다. [기자]6년 전에 결혼한 직장인 신상진 씨는 지난해 가을 아들을 얻었습니다. 경제적 부담에 자녀계획을 세우지 못하...

채널A News516 views2:01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

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Thailand under the topic 'สภาพอากาศ'.

About this video



[앵커]
저출생의 늪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입니다.

합계 출산율이 9년 만에 소폭 반등에 성공했는데요.

출생아 수가 늘어난 이유 무엇이었을까요?

배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6년 전에 결혼한 직장인 신상진 씨는 지난해 가을 아들을 얻었습니다.

경제적 부담에 자녀계획을 세우지 못하다, 회사의 지원에 마음을 먹었습니다.

[신상진 / 부영그룹 직원]
"(회사에서) 출산 장려금 1억 원을 지급한다는 소식을 듣고 아이를 출산하는 데에 큰 영향을 줬죠. 그걸 바탕으로 큰 집으로 이사를 할 계획이거든요."

지난해 연간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8200명 넘게 늘었습니다.

9년 만에 증가세 전환인데요.

20대와 40대 초반에서 출생률이 감소한 반면 30대에선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코로나로 지연된 결혼이 엔데믹 이후 쏟아진데다 결혼·출산 적령기인 30대 여성이 인구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한 게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입니다.

정부 정책과 기업의 각종 지원으로 결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된 것도 한몫 했습니다.

실제 부영과 크래프톤은 출산 시 1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두산그룹은 팀원이 육아휴직을 쓰면 다른 팀원들에게 50만 원씩 지급합니다.

[조현진 / 두산에너빌리티 직원]
"일단 일이 힘든 건 맞고요. 맞는데, 이제 50만 원 받으면서 조금 보상이 된다는 느낌을 좀 받았고."

전방위적인 출생 정책 속에 아기의 울음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배정현입니다.

영상취재 : 장명석
영상편집 : 김지향


배정현 기자 baechewing@ichannela.com

Video Information

Views
516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01

Video length

Published
Feb 26, 2025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