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폐기물 속에 드러난 내부 현실 🗑️
북한이 보내온 오물풍선과 폐기물에서 드러나는 내부 사회의 실상. 수제 신발부터 버려진 페트병까지, 전문가와 함께 북한의 숨겨진 이야기와 사회상을 살펴봅니다.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No specific trending topics match this video yet.
Explore All Global TrendsAbout this video
북한이 연일 보내오는 오물풍선에 담긴 쓰레기를 보면, 폐쇄된 북한 내부 실상을 고스란히 알 수 있습니다.
스티로폼을 실로 이어 겨우 만든 수제 슬리퍼부터,
버려진 페트병을 이어 만든 물고기잡이용 도구까지.
수거된 북한의 폐기물과 함께 이를 연구해 온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강동완 / 동아대 정치외교학 교수·하나센터장 : 더 놀라운 것은 이것은 뭐처럼 보이십니까? (슬리퍼인가요? 슬리퍼인데 손수 제작을 한 겁니다. 장판과 스티로폼 일부를 잘라서 지금 바느질을 해서 만든 건데.]
[윤재희 / 앵커(YTN 뉴스UP) : 지금 밑바닥은 스티로폼 2개를 붙인 그런 상태입니다. 이것도 지금 굉장히 투박한 그런 바느질로 기운 상태고요.]
[강동완 / 동아대 정치외교학 교수·하나센터장 : 장판을 오려서 만든 건데 제가 더 마음이 아팠던 것은 그 윗부분에 보시면 약간 디자인 요소가 있습니다.]
[윤재희 / 앵커(YTN 뉴스UP) : 이것도 가지고 오신 건데 이건 그냥 한눈에 봐도 그냥 페트병인 것 같은데요. 뭐에 쓰이는 건가요?]
[강동완 / 동아대 정치외교학 교수·하나센터장 : 맞습니다. 이번 오물풍선에 이 많은 페트병이 들어 있었는데요. 그런데 이 용도가 바로 이게 어구로 사용했다는 겁니다. 부표로 사용했다는 겁니다. 지금 우리가 해상에 가서 해안가에 쌓여 있는 쓰레기가 가장 많은 것이 어구입니다. 그 정도로 플라스틱을 그냥 버리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 페트병을 일일이 모아서 노끈을 묶어서 이걸 부표의 용도로 사용했다는 거죠. 이런 점만 보더라도 북한의 생필품이 얼마나 또 부족한지를 확인해볼 수 있는 대목이고요.]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626123652738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스티로폼을 실로 이어 겨우 만든 수제 슬리퍼부터,
버려진 페트병을 이어 만든 물고기잡이용 도구까지.
수거된 북한의 폐기물과 함께 이를 연구해 온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강동완 / 동아대 정치외교학 교수·하나센터장 : 더 놀라운 것은 이것은 뭐처럼 보이십니까? (슬리퍼인가요? 슬리퍼인데 손수 제작을 한 겁니다. 장판과 스티로폼 일부를 잘라서 지금 바느질을 해서 만든 건데.]
[윤재희 / 앵커(YTN 뉴스UP) : 지금 밑바닥은 스티로폼 2개를 붙인 그런 상태입니다. 이것도 지금 굉장히 투박한 그런 바느질로 기운 상태고요.]
[강동완 / 동아대 정치외교학 교수·하나센터장 : 장판을 오려서 만든 건데 제가 더 마음이 아팠던 것은 그 윗부분에 보시면 약간 디자인 요소가 있습니다.]
[윤재희 / 앵커(YTN 뉴스UP) : 이것도 가지고 오신 건데 이건 그냥 한눈에 봐도 그냥 페트병인 것 같은데요. 뭐에 쓰이는 건가요?]
[강동완 / 동아대 정치외교학 교수·하나센터장 : 맞습니다. 이번 오물풍선에 이 많은 페트병이 들어 있었는데요. 그런데 이 용도가 바로 이게 어구로 사용했다는 겁니다. 부표로 사용했다는 겁니다. 지금 우리가 해상에 가서 해안가에 쌓여 있는 쓰레기가 가장 많은 것이 어구입니다. 그 정도로 플라스틱을 그냥 버리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 페트병을 일일이 모아서 노끈을 묶어서 이걸 부표의 용도로 사용했다는 거죠. 이런 점만 보더라도 북한의 생필품이 얼마나 또 부족한지를 확인해볼 수 있는 대목이고요.]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626123652738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422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1:12
Video length
Published
Jun 26, 2024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