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의·교수도 이탈 조짐…의료대란 최대 고비
[앵커]전공의에 이어서 전임의와 의대교수들까지 집단 행동을 저울질하면서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전임의들의 의료 현장 이탈 시한으로 꼽히는 나흘 뒤 29일이 의료공백 사태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이어서, 배영진 기자입니다. [기자]전공의가 떠난 주요 대형병원들의 빈자리는 전...
About this video
[앵커]
전공의에 이어서 전임의와 의대교수들까지 집단 행동을 저울질하면서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전임의들의 의료 현장 이탈 시한으로 꼽히는 나흘 뒤 29일이 의료공백 사태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이어서, 배영진 기자입니다.
[기자]
전공의가 떠난 주요 대형병원들의 빈자리는 전임의, 대학교수 등 전문의들이 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점 한계상황에 다다르는 실정입니다.
[정진행/ 서울대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
"초반에는 그만큼 아니었는데 4일 지나면서부터는 남아 있는 사람들 체력적으로 버틸 수 없다…"
현재 대형 종합병원의 의사 구조는 전문의가 되기 위한 수련의 레지던트, 인턴 40%, 전문의 자격 취득 후 병원에 남아 1~2년간 세부 전공을 수련하는 전임의가 20%로 이들이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전임의들은 통상 2월말, 오는 29일 계약이 끝나는데 재계약 거부 움직임도 있습니다.
앞서 조선대병원 4년차 전임의 14명 중 12명이 재계약을 하지 않겠다고 병원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 빅5병원의 수술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상태에서 전임의까지 빠져나갈 경우 10%대로 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일부 대학병원에선 전공의들에 대한 처벌이 강행되면 교수들 마져 병원 파견 해제 등으로 맞설 태셉니다.
전공의에 이어 전임의, 의대교수까지 단체행동이 가시화될 경우 이번주가 의료공백 사태의 중대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
영상편집 : 정다은
배영진 기자 ican@ichannela.com
Video Information
Views
819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1:48
Video length
Published
Feb 25, 2024
Release date
About the Channel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Kenya under the topic 'betty ba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