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대도 안 가" 무전공 허용 꺼냈던 교육부, 돌연 "추진 안 한다"

정부가 19일 필수의료혁신전략을 발표하며 의대 정원 확대를 공식화했다. 당장 정원 숫자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교육부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각 대학의 증원 가능 규모를 조사할 계획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이날 “2025년도 입학 정원 확대를 목표로 그동안 관련 ...

중앙일보631 views3:50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

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Saudi Arabia under the topic 'new zealand national cricket team vs west indies cricket team match scorecard'.

About this video

정부가 19일 필수의료혁신전략을 발표하며 의대 정원 확대를 공식화했다. 당장 정원 숫자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교육부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각 대학의 증원 가능 규모를 조사할 계획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이날 “2025년도 입학 정원 확대를 목표로 그동안 관련 업무와 관련 정책을 착실하게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의료계와 국민, 환자단체 그리고 전문가 의견도 적극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정원 확대의 부작용으로 지적된 의대 쏠림 현상을 완화하는 동시에 대학별 사정에 맞게 적정 인원을 배정하는 후속 과제를 맡게 됐다.
 

 ━
  “서울대 치대 붙어도 안 간다”…거센 의대 열풍
  의대 쏠림은 의학전문대학원이 학부로 전환된 2015학년도 입시부터 본격화했다. 의전원 체제를 도입한 27개 대학 중 차의과학대학을 제외한 26개 의대가 차례로 학부 체제로 복귀하면서 의대 입시 경쟁이 치열해졌다. 학령인구 감소세에도 의예과의 경쟁률은 2015학년도 이후 꾸준히 6~8대1(정시 기준)을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최상위권 대학에서는 이탈 현상이 확대됐다. 19일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서울대 수시·정시모집 최초 합격자 중 1018명(10.3%)이 등록을 포기했다. 학과별로는 치의학과(치의학대학원)가 34.2% 이탈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뒤이어 간호대(26.8%), 약학대(20.2%), 수의과대(18.9%) 순이었다. 서 의원은 “서울대 치대, 약대 등에 합격한 최상위권 학생들마저 다른 대학 의대로 이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0696?cloc=dailymotion

Video Information

Views
631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3:50

Video length

Published
Oct 19,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