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1년 반 외교 여정: 100개국 정상과의 만남과 성과 🌍
취임 후 1년 5개월 만에 100여 개국과 외교 회담을 가진 윤석열 대통령. 한미, 한미일 동맹을 강화하며 글로벌 외교 무대에서 활약한 그의 외교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을 살펴봅니다.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Turkey under the topic 'bursa deprem'.
About this video
취임 1년 5개월, 윤석열 대통령은 역대 여느 대통령 못지않게 외교에 힘을 기울였는데요.
자유와 연대라는 기치를 들고 한미 동맹, 한미일 협력을 중심으로 무려 100여 개 나라 정상과 만나 회담을 했습니다.
박소정 기자입니다.
[기자]
취임 열하루 만에 바이든 미 대통령 방한으로 성사된 정상회담으로 '한미 동맹' 외교를 시작한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6월 나토 정상회의 때 미·일 정상과 한 자리에서 상견례를 하고, 석 달 뒤 유엔총회 데뷔 무대에선 자유와 연대의 가치를 역설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지난해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 : 자유를 지키고 확장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확고한 연대의 정신으로.]
하지만 정부는 미국, 일본과의 회담에 조급한 모습을 드러냈고,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파문이 일었습니다.
한미일 단합이 본격화한 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공유 합의 등 공동성명을 채택한 지난해 11월 이후.
윤 대통령의 삼일절 기념사에서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 등 과거사 언급이 빠진 뒤 정부는 제3자 변제 방식을 강제징용 피해 배상 문제의 해법으로 발표했고, 한일 '셔틀 외교'가 급물살을 탔습니다.
3월 윤 대통령의 방일과 한일정상회담,
[윤석열 / 대통령(지난 3월 한일 공동기자회견) : 양국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한일 간 협력의 새 시대를 여는 첫걸음이 되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 일본 총리(지난 3월 한일 공동기자회견) : 역사 인식에 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로써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기다렸다는 듯 4월 국빈 방미와 한미정상회담이 뒤따르고,
5월에는 기시다 일본 총리의 답방,
그리고 8월 미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정상회의가 세 나라 '밀착 외교'의 하이라이트였습니다.
한미 동맹을 축으로 한미일 협력을 앞세운 윤석열 정부의 선명한 외교 기조로 한미일 대 북중러 '신냉전 구도'는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지난 8월 한미일 정상회의) : 3국 협력의 제도적 기반과 추진 의지를 확고히 하는 역사적인 날로 기록될 것입니다.]
한편으로 윤 대통령은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나토, G20, 아세안 정상회의, 유엔총회 등 다자회의 무대에서 회담 강행군을 이어갔습니다.
취임 후 1년 5개월 동안 회담 횟수 140여 차례, 회담한 나라... (중략)
YTN 박소정 (sojung@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930081932841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자유와 연대라는 기치를 들고 한미 동맹, 한미일 협력을 중심으로 무려 100여 개 나라 정상과 만나 회담을 했습니다.
박소정 기자입니다.
[기자]
취임 열하루 만에 바이든 미 대통령 방한으로 성사된 정상회담으로 '한미 동맹' 외교를 시작한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6월 나토 정상회의 때 미·일 정상과 한 자리에서 상견례를 하고, 석 달 뒤 유엔총회 데뷔 무대에선 자유와 연대의 가치를 역설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지난해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 : 자유를 지키고 확장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확고한 연대의 정신으로.]
하지만 정부는 미국, 일본과의 회담에 조급한 모습을 드러냈고,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파문이 일었습니다.
한미일 단합이 본격화한 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공유 합의 등 공동성명을 채택한 지난해 11월 이후.
윤 대통령의 삼일절 기념사에서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 등 과거사 언급이 빠진 뒤 정부는 제3자 변제 방식을 강제징용 피해 배상 문제의 해법으로 발표했고, 한일 '셔틀 외교'가 급물살을 탔습니다.
3월 윤 대통령의 방일과 한일정상회담,
[윤석열 / 대통령(지난 3월 한일 공동기자회견) : 양국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한일 간 협력의 새 시대를 여는 첫걸음이 되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 일본 총리(지난 3월 한일 공동기자회견) : 역사 인식에 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로써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기다렸다는 듯 4월 국빈 방미와 한미정상회담이 뒤따르고,
5월에는 기시다 일본 총리의 답방,
그리고 8월 미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정상회의가 세 나라 '밀착 외교'의 하이라이트였습니다.
한미 동맹을 축으로 한미일 협력을 앞세운 윤석열 정부의 선명한 외교 기조로 한미일 대 북중러 '신냉전 구도'는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지난 8월 한미일 정상회의) : 3국 협력의 제도적 기반과 추진 의지를 확고히 하는 역사적인 날로 기록될 것입니다.]
한편으로 윤 대통령은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나토, G20, 아세안 정상회의, 유엔총회 등 다자회의 무대에서 회담 강행군을 이어갔습니다.
취임 후 1년 5개월 동안 회담 횟수 140여 차례, 회담한 나라... (중략)
YTN 박소정 (sojung@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930081932841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318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3:40
Video length
Published
Sep 29,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