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 D램 탑재 논란 🔍
화웨이의 최신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 D램이 탑재된 배경과 관련 의혹을 분석합니다. 이번 사건이 기술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세요.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Turkey under the topic 'bursa deprem'.
About this video
■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원 앵커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중국의 화웨이, 신형 제품에 7나노 공정 반도체가 탑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대해서 미국이 제재 위반이다, 이렇게 밝힌 것 같더라고요.
◆주원> 그러니까 나노 숫자가 적을수록 하이테크죠. 2나노가 3나노보다는 더 좋은 거고. 그런데 미국이 중국에다가 지금 걸고 있는 제재 기준이 14나노입니다. 그러니까 7나노니까 걸리는 건데 이 부분은 미국 상무부 장관이 중국을 방문할 때 맞춰서 공개했거든요. 그러니까 상당히 정치적인 의도가 있고, 다만 우리가 곰곰이 생각해 볼 게 7나노는 우리나라에 비해서 한 4년 정도 뒤진 기술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주력은 아니고 7나노 정도는 누구나 만들 수 있다고 그래요, 기술적으로. 그런데 문제는 양산의 문제인 거죠. 실제로 공장에서 만들 때 저게 시장에 풀리려면 불량률이 맞춰져야 되고 그래야 체산성이 맞춰지기 때문에 계속 양산할 수 있는데 저걸 과연 양산할 수 있을까. 그것은 또 다른 문제인 것 같아요. 그래서 중국이 반도체 기술을 많이 쫓아왔다, 이런 것도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저게 정말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는 범용 제품인가, 상용될 수 있는 통용될 수 있는 제품인가는 또 다른 문제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앵커> 미국에서 제재 위반이라고 한 부분은 어떤 부분을 얘기하는 건가요?
◆주원> 그러니까 14나노 이하는 안 된다는 거거든요. 미국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의 공정 기술 수준이 14나노 밑으로는 안 된다. 그런데 이게 화웨이에 들어간 반도체칩은 SMIC라는 중국 기업이 만들었는데 그것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요, 미국이. SMIC가 미국 기술을 이용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서. 그런데 지금 세계에 통용되는 반도체는 미국 기술이 안 들어간 반도체는 거의 없거든요. 그래서 사실 그 부분은 아무튼 중국 시장 내에서 만약에 저 화웨이폰이 통용된다면 그냥 바깥으로 수출되지 않고, 그러면 미국이 걸 수 있는 그런 건수는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앵커> 논란이 된 게 또 있었는데 여기 화웨이 신형 핸드폰에 SK하이닉스의 최신 D램이 들어 있었다, 이런 얘기가 있더라고요.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908081633919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중국의 화웨이, 신형 제품에 7나노 공정 반도체가 탑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대해서 미국이 제재 위반이다, 이렇게 밝힌 것 같더라고요.
◆주원> 그러니까 나노 숫자가 적을수록 하이테크죠. 2나노가 3나노보다는 더 좋은 거고. 그런데 미국이 중국에다가 지금 걸고 있는 제재 기준이 14나노입니다. 그러니까 7나노니까 걸리는 건데 이 부분은 미국 상무부 장관이 중국을 방문할 때 맞춰서 공개했거든요. 그러니까 상당히 정치적인 의도가 있고, 다만 우리가 곰곰이 생각해 볼 게 7나노는 우리나라에 비해서 한 4년 정도 뒤진 기술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주력은 아니고 7나노 정도는 누구나 만들 수 있다고 그래요, 기술적으로. 그런데 문제는 양산의 문제인 거죠. 실제로 공장에서 만들 때 저게 시장에 풀리려면 불량률이 맞춰져야 되고 그래야 체산성이 맞춰지기 때문에 계속 양산할 수 있는데 저걸 과연 양산할 수 있을까. 그것은 또 다른 문제인 것 같아요. 그래서 중국이 반도체 기술을 많이 쫓아왔다, 이런 것도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저게 정말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는 범용 제품인가, 상용될 수 있는 통용될 수 있는 제품인가는 또 다른 문제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앵커> 미국에서 제재 위반이라고 한 부분은 어떤 부분을 얘기하는 건가요?
◆주원> 그러니까 14나노 이하는 안 된다는 거거든요. 미국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의 공정 기술 수준이 14나노 밑으로는 안 된다. 그런데 이게 화웨이에 들어간 반도체칩은 SMIC라는 중국 기업이 만들었는데 그것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요, 미국이. SMIC가 미국 기술을 이용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서. 그런데 지금 세계에 통용되는 반도체는 미국 기술이 안 들어간 반도체는 거의 없거든요. 그래서 사실 그 부분은 아무튼 중국 시장 내에서 만약에 저 화웨이폰이 통용된다면 그냥 바깥으로 수출되지 않고, 그러면 미국이 걸 수 있는 그런 건수는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앵커> 논란이 된 게 또 있었는데 여기 화웨이 신형 핸드폰에 SK하이닉스의 최신 D램이 들어 있었다, 이런 얘기가 있더라고요.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908081633919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529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3:51
Video length
Published
Sep 7,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