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의 이별과 기억: 잊혀져 가는 이산가족과 국군포로 문제를 조명한다 🇰🇷

YTN이 6.25 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가족과 생이별한 이산가족,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를 집중 조명합니다. 잊혀져 가는 아픔과 역사적 진실을 함께 돌아봅시다.

YTN news246 views2:57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

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Turkey under the topic 'bursa deprem'.

About this video

모레(27일)인 7월 27일은 6.25 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7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YTN은 어제(24일)부터 기획보도를 보내드리고 있는데,

이번엔 70년 넘게 가족과 생이별한 이산가족 문제는 물론 점점 잊혀져 가는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를 짚어봤습니다.

최두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자]
1·4 후퇴 직전인 1950년 12월, 고향인 함경남도를 떠나 혈혈단신으로 월남한 윤경윤 할아버지.

어머니와 여동생만 남겨두고 떠난 세월이 70년을 넘길 줄 미처 몰랐습니다.

[윤경윤 / 이산가족 : 20일 내지 한 보름 정도로 (기다리면 고향에 다시 갈 수 있다고) 생각한 게 73년이 되니 참 기가 막힌 거죠.]

사진 한 장 챙길 겨를도 없이 생이별해야만 했지만, 아득한 세월 속에서도 가족들 얼굴만큼은 여전히 눈에 선합니다.

마지막 소원이 있다면 북녘땅 어딘가에 살아있을지 모르는 여동생을 꼭 한 번 만나는 겁니다.

[윤경윤 / 이산가족 : 죽기 전에 (여동생을) 한 번 보고 죽었으면 원이 없는 거예요. 죽는 날, 숨이 끊어지는 날까지 나보다 열 살 아래 동생을, (헤어질 당시 모습이) 눈에 훤해요.]

전체 이산가족 13만여 명 가운데 생존자는 4만여 명.

이 가운데 70세 이상 고령자가 85%를 넘는 만큼 대면 상봉이 가능한 시간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국군포로 자녀인 손명화 국군포로가족회 대표.

'괴뢰군 포로'라는 꼬리표를 단 아버지는 북한에서 고된 작업에 동원됐고 자녀들까지 연좌제로 손가락질을 받았습니다.

[손명화 / 국군포로가족회 대표 : 야 너는 아버지가 괴뢰군(국군포로)이라며, 남조선(남한) 괴뢰군이라며? 이런 말을 고등학교 2학년 때 (다른 학생들로부터) 들었지요.]

목숨을 걸고 2005년 '아버지의 고향' 한국 땅을 밟았지만, 맞닥뜨린 건 정부와 남쪽 사회의 무관심이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지난 2월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국군포로 문제에 대한 관심을 호소하기까지 했습니다.

[손명화 / 국군포로가족회 대표 : (국군포로가) 살아서 왔든 죽어서 왔든 오지 못했든 국군포로라고 인정할 경우 돈보다는 명예를 (되찾아) 줘야 하지 않겠느냐.]

최소 5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미송환 국군포로 대부분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잊혀져 가는 영웅들을 귀환시킬 시간 역시 촉박합니다.

납북자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 (중략)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72506201661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246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57

Video length

Published
Jul 24,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