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10년 아성 '흔들'...하반기에는 달라질까? / YTN
일상회복 후 IT 수요 감소…반도체 수출 11달째↓ 1~6월 車+차 부품 수출액, 7년 만에 반도체 추월 메모리 ’감산효과’…고가 메모리 수요도 증가 하반기 車 수요 증가세 둔화 시 순위 바뀔 수도 반도체가 올해 상반기 수출 부진으로 지난 2013년부터 10년간 지켜온 수출 1위 ...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Saudi Arabia under the topic 'new zealand national cricket team vs west indies cricket team match scorecard'.
About this video
일상회복 후 IT 수요 감소…반도체 수출 11달째↓
1~6월 車+차 부품 수출액, 7년 만에 반도체 추월
메모리 ’감산효과’…고가 메모리 수요도 증가
하반기 車 수요 증가세 둔화 시 순위 바뀔 수도
반도체가 올해 상반기 수출 부진으로 지난 2013년부터 10년간 지켜온 수출 1위 품목 지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을 합산한 결과 수출액이 반도체를 앞섰는데, 하반기에는 양상이 어떨지 관심입니다.
박홍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반도체는 지난 1989년부터 2007년, 그리고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단일 품목으로 우리나라 수출 1위 상품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일상회복 이후 IT 수요가 줄면서 수출이 지난해 8월부터 11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그 결과 올해 6월까지 수출액은 432억 달러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37.4%가 줄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전기차 등 고가 차 소비가 늘면서 357억 달러,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여기에다 차 부품(116억 달러)까지 더하면 수출액 473억 달러로 반도체를 앞섰습니다.
상반기 기준, 자동차와 차 부품의 수출이 반도체를 앞선 건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입니다.
[장상식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 : 억눌렸던 자동차 수요가 폭증하면서 지난해와 올해 들어 자동차 수출이 (상대적으로-삭제요망) 많이 늘었고요./ IT경기는 상대적으로 침체되면서 자동차와 반도체 수출이 극명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9.7%에서 올해는 14%로 축소된 반면 자동차와 차 부품은 10%에서 15%대로 올라섰습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양상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출 주력 품목인 메모리 가격이 1년 전보다 60% 급락한 수준이지만 재고가 줄면서 최근 하락 세가 둔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감산 효과가 더해지고 4분기부터는 챗 GPT 등 인공지능 서비스 확대에 따른 고부가가치 메모리 수요가 늘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박진석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선임 연구원 : 고대역폭 메모리, HBM 쪽이 수요가 지금 많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고, 삼성전자 역시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
따라서 하반기에는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고, 글로벌 자동차 수요 증가세가 주춤한다고 가정했을 때 수출 품목 순위도 바뀔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 (중략)
YTN 박홍구 (hkpark@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714170823186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1~6월 車+차 부품 수출액, 7년 만에 반도체 추월
메모리 ’감산효과’…고가 메모리 수요도 증가
하반기 車 수요 증가세 둔화 시 순위 바뀔 수도
반도체가 올해 상반기 수출 부진으로 지난 2013년부터 10년간 지켜온 수출 1위 품목 지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을 합산한 결과 수출액이 반도체를 앞섰는데, 하반기에는 양상이 어떨지 관심입니다.
박홍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반도체는 지난 1989년부터 2007년, 그리고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단일 품목으로 우리나라 수출 1위 상품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일상회복 이후 IT 수요가 줄면서 수출이 지난해 8월부터 11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그 결과 올해 6월까지 수출액은 432억 달러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37.4%가 줄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전기차 등 고가 차 소비가 늘면서 357억 달러,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여기에다 차 부품(116억 달러)까지 더하면 수출액 473억 달러로 반도체를 앞섰습니다.
상반기 기준, 자동차와 차 부품의 수출이 반도체를 앞선 건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입니다.
[장상식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 : 억눌렸던 자동차 수요가 폭증하면서 지난해와 올해 들어 자동차 수출이 (상대적으로-삭제요망) 많이 늘었고요./ IT경기는 상대적으로 침체되면서 자동차와 반도체 수출이 극명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9.7%에서 올해는 14%로 축소된 반면 자동차와 차 부품은 10%에서 15%대로 올라섰습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양상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출 주력 품목인 메모리 가격이 1년 전보다 60% 급락한 수준이지만 재고가 줄면서 최근 하락 세가 둔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감산 효과가 더해지고 4분기부터는 챗 GPT 등 인공지능 서비스 확대에 따른 고부가가치 메모리 수요가 늘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박진석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선임 연구원 : 고대역폭 메모리, HBM 쪽이 수요가 지금 많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고, 삼성전자 역시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
따라서 하반기에는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고, 글로벌 자동차 수요 증가세가 주춤한다고 가정했을 때 수출 품목 순위도 바뀔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 (중략)
YTN 박홍구 (hkpark@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714170823186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306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36
Video length
Published
Jul 14,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