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폐아 부모의 눈물, 제한된 교육 환경이 만든 현실 😢

12살 클로이의 사례를 통해 드러난 미국 내 자폐아 학생들의 열악한 교육 환경과 부모의 고통을 조명합니다. 부모와 아이가 겪는 어려움과 변화의 필요성을 살펴보세요.

YTN news692 views1:59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

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No specific trending topics match this video yet.

Explore All Global Trends

About this video

12살의 클로이는 어머니 빵 가게에서 컴퓨터로 학교 숙제를 하면서 혼자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자폐아인 클로이는 지난해 학교에서 친구들과 싸우는 등 말썽을 일으킨 뒤 1주일에 하루, 그것도 2시간만 학교 수업이 허용됐습니다.

[알리사 완/ 클로이(자폐 학생)어머니 : 아이를 최소 하루 종일만이라도 학교에 있게 해달라고 하는 게 과한 요구는 아닙니다. 친구들도 봐야 하잖아요.]

8살의 스칼렛은 전자도구 등을 이용해 학년 수준에 맞게 읽고 소통할 수 있지만 발작증을 앓고 있어 식사하고 약을 먹는 데 도움이 필요합니다.

학교에 스칼렛을 위한 상주 간호사가 필요한데 사정은 그렇지 못합니다.

[첼시아 라스무센/스칼렛(발작장애 학생) 어머니 : 지금이 2023년입니다. 그런데 장애아라는 이유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그게 유일한 이유입니다.]

학교들은 장애아동들이 학습 분위기를 해치고 교사들을 다치게 한다거나 예산 부족 문제를 들어 필요한 전문 인력을 충원하는 대신 교실 수업 일수를 줄이고 있습니다.

장애학생 부모들과 단체들은 장애를 이유로 동등한 교육을 못 받게 하는 것은 차별이며 학생 인권의 침해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바네사 존스 / 미 오리건주 그랜츠패스 학구 특수교육 국장 : 장애학생들에 대한 학교수업일 단축을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실에 없으면 필요한 것을 배울 수 없습니다.]

미국은 1975년 법을 만들어 장애학생들이 차별 없이 공교육을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클로이나 스칼렛 경우처럼 미국 전역에서 교실에서 밀려나는 장애학생들이 늘면서 주에 따라서는 이를 막기 위한 입법까지 추진되는 등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YTN 류제웅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자막뉴스 : 이미영

화면출처 : 미 오리건 주의회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30703083054952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692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1:59

Video length

Published
Jul 2,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