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권력의 중심에서 344만 명의 공원으로
[앵커]청와대가 국민 품으로 돌아온지 딱 1년됐습니다. 1년 동안 340만 명 넘는 시민이 찾았다는데요.지방에서도 외국에서도 찾아오는 관광지가 됐지만 즐길 거리는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송진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기자]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던 지난해 5월 10일...
About this video
[앵커]
청와대가 국민 품으로 돌아온지 딱 1년됐습니다.
1년 동안 340만 명 넘는 시민이 찾았다는데요.
지방에서도 외국에서도 찾아오는 관광지가 됐지만 즐길 거리는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송진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던 지난해 5월 10일.
청와대 정문이 열리고 관람객들이 줄지어 들어갑니다.
봄꽃이 지기 전에 청와대를 국민들에게 돌려주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 이행된 겁니다.
외빈을 맞이할 때 쓰던 상춘재입니다.
맞은편에는 경내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녹지원이 보입니다.
시민들도 '권력의 공간'을 엿볼 수 있어 반갑다는 반응입니다.
[김기술 / 경상북도 포항시]
"개방한 건 잘했지. 국민들한테 돌려줘야지. 이 좋은 거를."
[황선영 / 경기 부천시]
"용산으로 옮기지 않았다면 우리가 한 번이라도 볼 수 있었을까. 행운을 얻었다는 그런 느낌이 들었고요."
지난 8일 기준 청와대를 찾은 누적 방문객은 약 344만 명.
지난해 서울의 4대 궁궐 방문객(231만 명)보다 백만 명 이상 많습니다.
봄이 오자 지난달 외국인 관람객도 1만 1천 명을 넘길 정도로 서울의 필수 방문 코스가 됐습니다.
연중무휴 이어지던 시위와 통행 제한이 없어지면서 인근 상권도 살아나고 있습니다.
한 카드사 분석 결과 지난 1년간 청와대 인근 5개 상권의 주말 카드 매출액은 40% 뛰었습니다.
다만 상주하던 청와대 직원이 옮겨가면서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습니다.
[백광일 / 청와대 인근 식당]
"손님이 거의 30~40% 이상 줄었고, 매출도 한 40~50% 줄었어요. 오히려 코로나 때가 더 나았어요."
대형버스를 수용할 주차공간 부족과 관람이 제한되고 있는 청와대 영빈관 등 볼거리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
영상취재: 이준희 최혁철
영상편집: 이승은
송진섭 기자 husband@ichannela.com
Video Information
Views
210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02
Video length
Published
May 11, 2023
Release date
About the Channel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Kenya under the topic 'betty ba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