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단 주민들 대탈출 급증 🚶♂️ 생화학전 우려와 의료 위기 심화
수단 내 군벌 충돌로 인해 주민과 외국인 모두 대탈출이 이어지고 있으며, 생화학전 공포와 의료 서비스 부족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됩니다. 긴장 속 수단의 위기 상황을 상세히 전합니다.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Turkey under the topic 'bursa deprem'.
About this video
군벌 간 충돌이 격화하고 있는 수단에서 외국인들에 이어 수단 주민들도 대탈출을 위해 국경지대로 몰리고 있습니다.
군벌이 국가 보건연구소를 장악하며 생화학전 공포까지 확산하는 가운데 의료 서비스 부족으로 추가 피해가 우려됩니다.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단 주민들이 고국을 빠져나가기 위해 항구에 몰려들었습니다.
어린아이들도 아침부터 짐을 쌌습니다.
무작정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오로지 수도 하르툼을 벗어나기 위해 며칠씩 버텨야 했습니다.
[아스마 하마드 / 수단 시민 : 물도 없고, 전기도 없고, 사람들이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것도 없고 늙은 저는 약도 못 구합니다. 우리는 나흘 동안 이렇게 길바닥에 앉아 있었어요.]
수단 주민들은 외국인들의 대피가 끝나면 싸움이 더 격화되고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쓸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군벌 세력이 국립병원체 연구실을 장악해 생화학전이 벌어질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하며 국경지대로 몰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박 탑승의 우선권이 외국인에게 있는 데다 중간 교통비용도 하루가 다르게 폭등해 고통은 커져만 갑니다.
[카람 / 수단 시민 : 버스 티켓에 반영된 휘발유 가격이 크게 인상됐습니다. 매일 오르고 있습니다. 계산하면 약 700% 올랐어요.]
세계보건기구, WHO는 이런 상황에서 식량과 의료 서비스 부족으로 수단의 민간인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 WHO 사무총장 : 수도 하르툼에서는 의료 시설의 61%가 문을 닫았고 16%만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WHO는 군벌이 점령한 연구실이 어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도 평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는 소아마비와 홍역 등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 샘플이 보관돼 있습니다.
[마이클 라이언 / WHO 비상대응 팀장 : 실험실 직원이 강제로 실험실을 떠나고 훈련받지 않은 사람들이 실험실에 들어올 때 항상 위험이 따르지만, 위험은 주로 개인이 우발적으로 병원균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유엔 조사결과 지금까지 수단 분쟁으로 사망한 사람은 460여 명, 부상자는 4천여 명이지만 실제 피해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YTN 김선희입니다.
YTN 김선희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3042713292449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군벌이 국가 보건연구소를 장악하며 생화학전 공포까지 확산하는 가운데 의료 서비스 부족으로 추가 피해가 우려됩니다.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단 주민들이 고국을 빠져나가기 위해 항구에 몰려들었습니다.
어린아이들도 아침부터 짐을 쌌습니다.
무작정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오로지 수도 하르툼을 벗어나기 위해 며칠씩 버텨야 했습니다.
[아스마 하마드 / 수단 시민 : 물도 없고, 전기도 없고, 사람들이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것도 없고 늙은 저는 약도 못 구합니다. 우리는 나흘 동안 이렇게 길바닥에 앉아 있었어요.]
수단 주민들은 외국인들의 대피가 끝나면 싸움이 더 격화되고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쓸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군벌 세력이 국립병원체 연구실을 장악해 생화학전이 벌어질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하며 국경지대로 몰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박 탑승의 우선권이 외국인에게 있는 데다 중간 교통비용도 하루가 다르게 폭등해 고통은 커져만 갑니다.
[카람 / 수단 시민 : 버스 티켓에 반영된 휘발유 가격이 크게 인상됐습니다. 매일 오르고 있습니다. 계산하면 약 700% 올랐어요.]
세계보건기구, WHO는 이런 상황에서 식량과 의료 서비스 부족으로 수단의 민간인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 WHO 사무총장 : 수도 하르툼에서는 의료 시설의 61%가 문을 닫았고 16%만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WHO는 군벌이 점령한 연구실이 어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도 평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는 소아마비와 홍역 등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 샘플이 보관돼 있습니다.
[마이클 라이언 / WHO 비상대응 팀장 : 실험실 직원이 강제로 실험실을 떠나고 훈련받지 않은 사람들이 실험실에 들어올 때 항상 위험이 따르지만, 위험은 주로 개인이 우발적으로 병원균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유엔 조사결과 지금까지 수단 분쟁으로 사망한 사람은 460여 명, 부상자는 4천여 명이지만 실제 피해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YTN 김선희입니다.
YTN 김선희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3042713292449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497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29
Video length
Published
Apr 27,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