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빅데이터 수업에 등장한 '오픈북 시험'과 챗GPT의 역할 🤖
경희대 대학원 빅데이터 수업에서 챗GPT를 활용한 오픈북 시험이 도입되었습니다.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즉각 답변을 얻지만, 과연 만점을 받을 수 있을까요? 자세한 내용을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Saudi Arabia under the topic 'new zealand national cricket team vs west indies cricket team match scorecard'.
About this video
경희대 대학원 빅데이터 전공 수업 시간에 챗GPT가 도입됐습니다.
[이경전 / 경희대 경영대학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 : 포지셔널 인코딩을 행렬로 만든다고 하고, 공식, 이렇게 나오는데….]
교수가 질문하면 무엇이든 즉각 답을 내놓지만 핵심은 정답을 찾는 게 아닙니다.
교수는 강의를 도울 다양한 보충자료를 빠르게 찾아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고 학생들은 단순 계산이나 자료 검색 시간을 줄이되, 챗GPT의 답을 검증하고 질문을 다듬어 원하는 답을 찾는 과정을 배웁니다.
[최상호 / 경희대 경영대 박사과정 : 혼자 생각하다가 옆에 보조, 조수 끼고 하는 느낌인데.... 광범위하게 물으면 그걸 계산하는 연산 도중에 틀리는데, 그걸 다시 디테일하게 물어봤을 때는 본인이 실수했다고 계산이 잘못했다고 다시 정답을 뱉어내는….]
중간고사 기간이 다가오면서 챗GPT를 활용한 '오픈 북 시험'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대학원생 20명이 모두 똑같이 챗GPT로 시험을 봤는데, 결과는 어땠을까.
[최륜희 / 경희대 경영대 박사과정 : (시험 전에) 예시 문제가 있어서 한 번쯤 돌려보기는 했어요. 돌릴 때마다 챗GPT가 나오는 답이 다 달라서 (모두 답이 같을거란) 그런 느낌은 없었고, 정답의 기준이 따로 있을까? 하는 생각은 했던 거 같아요.]
[이흠철 / 경희대 경영대 박사과정 : 챗GPT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그런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챗GPT도 좀 써봤는데 조금 문제점도 발생하니까, 그래서 본인의 마인드가 되게 중요한 거 같습니다.]
모르는 문제가 나와 챗GPT의 답을 그대로 긁어서 낸 학생이 있는가 하면 현재 챗GPT는 도표 등 이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데도, 자신이 문제를 이해하고 질문을 만들어 챗GPT가 답할 수 있게 한 학생도 있습니다.
[이경전 / 경희대 경영대학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 : 결국, 잘 이해하면서 도구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이길 수 있다는 걸 (시험에서) 좀 확인한 것 같아요.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그 이해를 높이는 과정에서의 어떠한 도구를 잘 활용하는 것들도 같이 학습시켜야 한다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답안지를 보면서 확 느꼈습니다.]
챗GPT가 막 등장한 지금, 이른바 '과제 표절'의 부작용이 있는 게 사실이지만, 결국, 사회에 나가면 암기력보다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최선의 결과를 얻고 그걸 검증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는 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3042509454610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이경전 / 경희대 경영대학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 : 포지셔널 인코딩을 행렬로 만든다고 하고, 공식, 이렇게 나오는데….]
교수가 질문하면 무엇이든 즉각 답을 내놓지만 핵심은 정답을 찾는 게 아닙니다.
교수는 강의를 도울 다양한 보충자료를 빠르게 찾아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고 학생들은 단순 계산이나 자료 검색 시간을 줄이되, 챗GPT의 답을 검증하고 질문을 다듬어 원하는 답을 찾는 과정을 배웁니다.
[최상호 / 경희대 경영대 박사과정 : 혼자 생각하다가 옆에 보조, 조수 끼고 하는 느낌인데.... 광범위하게 물으면 그걸 계산하는 연산 도중에 틀리는데, 그걸 다시 디테일하게 물어봤을 때는 본인이 실수했다고 계산이 잘못했다고 다시 정답을 뱉어내는….]
중간고사 기간이 다가오면서 챗GPT를 활용한 '오픈 북 시험'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대학원생 20명이 모두 똑같이 챗GPT로 시험을 봤는데, 결과는 어땠을까.
[최륜희 / 경희대 경영대 박사과정 : (시험 전에) 예시 문제가 있어서 한 번쯤 돌려보기는 했어요. 돌릴 때마다 챗GPT가 나오는 답이 다 달라서 (모두 답이 같을거란) 그런 느낌은 없었고, 정답의 기준이 따로 있을까? 하는 생각은 했던 거 같아요.]
[이흠철 / 경희대 경영대 박사과정 : 챗GPT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그런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챗GPT도 좀 써봤는데 조금 문제점도 발생하니까, 그래서 본인의 마인드가 되게 중요한 거 같습니다.]
모르는 문제가 나와 챗GPT의 답을 그대로 긁어서 낸 학생이 있는가 하면 현재 챗GPT는 도표 등 이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데도, 자신이 문제를 이해하고 질문을 만들어 챗GPT가 답할 수 있게 한 학생도 있습니다.
[이경전 / 경희대 경영대학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 : 결국, 잘 이해하면서 도구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이길 수 있다는 걸 (시험에서) 좀 확인한 것 같아요.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그 이해를 높이는 과정에서의 어떠한 도구를 잘 활용하는 것들도 같이 학습시켜야 한다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답안지를 보면서 확 느꼈습니다.]
챗GPT가 막 등장한 지금, 이른바 '과제 표절'의 부작용이 있는 게 사실이지만, 결국, 사회에 나가면 암기력보다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최선의 결과를 얻고 그걸 검증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는 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3042509454610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2.3K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52
Video length
Published
Apr 25, 2023
Releas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