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산 금액서 미국 수출 위해 한국산으로 속여 적발 🚨
인도인과 한국 공범들이 FTA를 악용해 인도산 금액서 미국 시장에 한국산으로 위장 수출한 사건이 드러났습니다. 870여 점의 금액서 유명 상표 도용과 법인 설립으로 27억 원 규모의 부정 거래가 적발됐습니다.
About this video
인도인·韓 공범 2명, ’원산지 세탁’용 법인 설립
인도산 870여 점 (27억 원어치) 유명 상표 도용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된 미국 시장에서 관세가 붙지 않는 점을 악용해 인도산 금 액세서리를 한국산으로 속여 판 일당이 붙잡혔습니다.
이들은 K팝 열풍으로 요즘 한국산의 인기가 좋은 점을 노리고 원산지를 세탁한 데다 해외 명품의 상표권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이승윤 기자입니다.
[기자]
해외 명품 상표를 흉내 낸 반지와 목걸이 등 금 액세서리들,
모두 서류상으로는 메이드 코리아라고 표시돼 있지만, 사실은 인도산입니다.
인도인 무역업자 38살 A 씨와 한국인 공범 2명은 지난 2019년 11월 국내 법인을 설립해 이런 가짜를 만든 겁니다.
지난 2020년과 지난해 인도산 금 액세서리 9만 4천여 점, 시가 267억 원어치를 수입한 뒤 원산지 표시만 갈아붙이는, 이른바 '라벨 갈이'를 한 뒤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도산 금제품 870여 점, 시가로 27억 원어치는 샤넬 등 해외 유명 상표를 무단 도용한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미국으로 수출할 땐 미국 내 관세가 5.5% 발생합니다.
하지만 인도와 한국, 한국과 미국 간엔 FTA, 즉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돼 특혜 관세가 0%로 적용되는 점을 악용한 겁니다.
[박창수 / 서울본부세관 특수조사팀장 : 최근 들어서 K팝이라든지 K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산으로 위장하게 되면 미국 시장에서 인기가 많아지기 때문에 한국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3/4분기 통계를 보면 (원산지 세탁 범죄는) 지난해 건수 대비는 17%, 금액 대비는 88% 증가한 것으로 저희 관세청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관세 당국은 지난 2021년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한 뒤 이들을 붙잡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관세청 서울본부세관은 이들이 인도산을 한국산으로 바꾸면서 10% 정도의 이득을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런 원산지 세탁 범죄가 늘고 있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1212183718907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인도산 870여 점 (27억 원어치) 유명 상표 도용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된 미국 시장에서 관세가 붙지 않는 점을 악용해 인도산 금 액세서리를 한국산으로 속여 판 일당이 붙잡혔습니다.
이들은 K팝 열풍으로 요즘 한국산의 인기가 좋은 점을 노리고 원산지를 세탁한 데다 해외 명품의 상표권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이승윤 기자입니다.
[기자]
해외 명품 상표를 흉내 낸 반지와 목걸이 등 금 액세서리들,
모두 서류상으로는 메이드 코리아라고 표시돼 있지만, 사실은 인도산입니다.
인도인 무역업자 38살 A 씨와 한국인 공범 2명은 지난 2019년 11월 국내 법인을 설립해 이런 가짜를 만든 겁니다.
지난 2020년과 지난해 인도산 금 액세서리 9만 4천여 점, 시가 267억 원어치를 수입한 뒤 원산지 표시만 갈아붙이는, 이른바 '라벨 갈이'를 한 뒤 미국에 수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도산 금제품 870여 점, 시가로 27억 원어치는 샤넬 등 해외 유명 상표를 무단 도용한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미국으로 수출할 땐 미국 내 관세가 5.5% 발생합니다.
하지만 인도와 한국, 한국과 미국 간엔 FTA, 즉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돼 특혜 관세가 0%로 적용되는 점을 악용한 겁니다.
[박창수 / 서울본부세관 특수조사팀장 : 최근 들어서 K팝이라든지 K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산으로 위장하게 되면 미국 시장에서 인기가 많아지기 때문에 한국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3/4분기 통계를 보면 (원산지 세탁 범죄는) 지난해 건수 대비는 17%, 금액 대비는 88% 증가한 것으로 저희 관세청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관세 당국은 지난 2021년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한 뒤 이들을 붙잡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관세청 서울본부세관은 이들이 인도산을 한국산으로 바꾸면서 10% 정도의 이득을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런 원산지 세탁 범죄가 늘고 있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1212183718907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Video Information
Views
347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16
Video length
Published
Dec 12, 2022
Release date
About the Channel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Kenya under the topic 'betty ba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