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 20% 가격 인상 🚨 국내 OTT 서비스, 구독료 줄줄이 인상 전망
유튜브와 넷플릭스에 이어 국내 OTT들도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저렴한 초기 요금제에서 점차 가격이 오른 배경과 시장 전망을 분석합니다.
About this video
[앵커]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해외 OTT들에 이어 국내 OTT도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섭니다.
처음에는 저렴한 요금제로 고객을 끌어모으더니 서비스가 궤도에 오르자 지배력을 앞세워 가격을 올린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곽민경 기자입니다.
[기자]
CJ ENM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 OTT인 티빙이 다음 달부터 연간 이용권 가격을 약 20% 올립니다.
광고를 봐야 하는 월 5500원짜리 요금제를 빼고 나머지 이용권의 가격을 최대 23.8% 인상합니다.
해외 OTT 요금 인상이 국내 OTT로 번지는 모양새입니다.
최근 쿠팡이 멤버십 요금을 58% 올렸고 이에 앞서 유튜브 프리미엄과 디즈니플러스는 구독료를 각각 43%, 40% 인상했습니다.
넷플릭스도 계정 공유를 제한해 추가 인원당 5000원을 더 받습니다.
OTT 구독료가 연달아 오르면서 '스트림플레이션'이라는 말까지 생겨났습니다.
한 번에 큰 폭으로 뛰는 OTT 구독료가 소비자들은 부담스럽습니다.
[신동혁 / 서울 동작구]
"라면 같은 것도 오르는 것 보면 몇 백 원 단위로 오르는데. 어쩔 수 없이 친구들하고 얘기하려면 소비를 해야 하는데 20%면 좀 부담이 된다."
[김지우 / 경기 의정부시]
"이용을 쭉 하다가 요금이 인상돼서 한 번 끊었다가 다시 계속 생각나서 구독을 다시 한 케이스인데. 이렇게 계속 오르면 학생이기도 한데 좀 부담이 돼서."
티빙은 이달까지 무료인 KBO 프로야구 생중계도 다음 달부터 유료로 전환합니다.
일단 무료 서비스에 빠지게 한 뒤 돈을 받는 게 OTT들의 전략입니다.
[김효진 / 서울 광진구]
"소비자 입장에서 속았다라고 느낄 수밖에 없는 것 같기는 해요."
OTT 업체들은 치솟는 콘텐츠 투자비 때문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OTT의 요금 인상에 문제는 없는지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
영상취재: 김기열
영상편집: 강 민
곽민경 기자 minkyung@ichannela.com
Video Information
Views
868
Total views since publication
Duration
2:06
Video length
Published
Apr 28, 2024
Release date
About the Channel
Related Trending Topics
LIVE TRENDSThis video may be related to current global trending topics. Click any trend to explore more videos about what's hot right now!
THIS VIDEO IS TRENDING!
This video is currently trending in Portugal under the topic 'depressao claudia ipma'.